국내 위성정보공학 관련학과
위성정보공학과 소개
위성정보융합공학전공은 첨단 위성을 포함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를 위치기반의 다양한 기술 및 서비스 개발에 응용 및 활용하는데 있어 필요한 학문과 기술을 다루고 있습니다.
위성정보융합공학전공은 일류 선진 국가 도약에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등의 각종 첨단정보 구축은 물론 이를 응용 활용할 수 있는 유능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데 교육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지리정보공학 및 위성정보공학은 복잡한 지구환경은 물론 고도화된 산업사회의 모니터링과 신속 정확한 정책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경제활동과 생활안전에 필수불가결한 미래 유망 첨단 과학 기술 분야입니다.
Q1. 지리정보시스템(GIS)이란 무엇인가요? 열기

- GIS 관련분야
-
-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국토관리 및 기술개발
- 공간정보의 Visualization 및 Web 표출시스템 개발
- 모바일 및 웹기반 공간정보 플랫폼 개발
-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위성 빅데이터 분석
- 베이지언 모델을 이용한 앙상블 데이터동화
Q2. 지구환경 원격탐사(RS)이란 무엇인가요? 열기

- 지구환경 원격탐사(RS) 관련 분야
-
- 위성자료를 이용한 강수 추정 및 감시
- 황사 등의 대기 에어로솔 탐지 및 분석
- 위성원격탐사를 활용한 기후변화 예측
- 지면 및 기후요소 산출 알고리즘 개발
-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 처리 분석
- 해안지역 변화 탐지 및 산사태 위험지도 제작
- 사막화 확산과 피해 방지에 관한 연구
- RS와 GIS를 이용한 해양환경 특성 연구
Q3. 위성측위시스템(GPS)이란 무엇인가요? 열기

- 위성측위시스템(GPS) 관련 분야
-
- 위성측위 정확도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 정밀 3차원 측지망 구성
Q4.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이란 무엇인가요? 열기

- 지능형교통시스템(ITS) 관련 분야
-
- 지능형 차량제어 알고리즘 개발
- 유비쿼터스 기반 고안전 지능형 화물차량제어 알고리즘 개발
- 첨단 Park & Ride 시스템 운영 관리
- 실시간 연계 환승정보시스템 기술 연구
- 물류 DB 표준체계 개발
- 친환경적 물류 인프라 설계
- 첨단차량 및 도로 시스템 관련 연구
(교육연구단 현황) |
참여교수 | 참여 대학원생 |
신진 연구인력 |
산학협력 전담인력 |
2021년도 사업예산 |
---|---|---|---|---|---|
(′21. 3월 기준) | 32명 | 121명 | 1명 | - | 786백만원 |
교육연구단 비전 및 목표
▣ i-SEED 지구환경교육연구단의 비전
- ◎ 지구환경재해에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융복합 인재양성
-
- innovative: 지구환경재해분야를 선도할 혁신적 사고 함양
- Smart Earth: 지구환경재해 현안에「Smart Earth」기술 적용 확대
- Engaged learning: 융복합 모듈형 교육과 현장해결형 교육의 실현
- Disaster resilience and management: 국제적, 지역적 지구환경재해 현안에 대한 통찰력과 관리능력을 겸비한 지구환경재해 전문가 양성
▣ i-SEED 지구환경교육연구단의 목표
- ◎ 지능형정보기술 기반의 스마트 지구환경재해 교육인프라 완성
-
- 지구환경재해분야 관련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교육 역량 강화
- Smart Earth 기술과의 매칭을 통해 급변하는 지구환경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교육연구단 육성
- ◎ 다학제간 융복합 교육체계 및 연구시스템 구축
-
- 다학제간 융복합 모듈형 교육과정 개발과 문제해결 능력의 고도화
- 다학제간 요소기술을 이용한 기술체인 기반 융복합 연구의 고도화
- ◎ 국제적 감각과 글로벌 수준의 연구력을 갖춘 글로벌 리더 교육 강화
-
- 국제적 감각 배양을 위한 글로벌 수준의 융복합 교육체계 완성
- 국제협력 시스템 구축 및 지구환경재해 연구분야 국제 허브 실현
- ◎ 지역사회 현안 발굴과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및 연구 확대
-
- 지구환경재해분야 지역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교육 기회 마련
- 산학연 협력과 지역산업 현장해결형, 지역 연구형 전문인재 양성
교육/연구 방향
▷ 교육 방향
◎ i-SEED형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도약(Step-up), 진화(Evolution), 경험(Experience), 그리고 완성(Dissertation)의 4단계 플랫폼으로 구성
▷ 연구 방향
◎ i-SEED형 연구실현을 위해 도약(Step-up), 진화(Evolution), 평가(Evaluation), 그리고 완성(Dissertation)의 4단계 플랫폼으로 구성
▷ 교육연구단 학과 졸업 후 진로
◎ i-SEED형 연구실현을 위해 도약(Step-up), 진화(Evolution), 평가(Evaluation), 그리고 완성(Dissertation)의 4단계 플랫폼으로 구성
교육연구단 우수성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창의적 사고와 실용적 팀워크 능력을 갖춘 지구환경재해분야의 스마트 융복합 인재 배출
- 지구환경재해분야에 관련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교육과정 및 모듈단위의 교육과정 인프라 구축으로 지구환경재해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의 선진화와 국제화 달성
- 지구환경재해 현안을 국제적 감각과 다학제적 융복합 사고로 해결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 배출
- 지역사회 재해 현안 발굴과 해결을 위한 산학연 연계형 교육 및 연구시스템의 고도화를 통해 전략적 지역 연구형 전문인력 배출
- 학문적,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우수 연구 성과 기술이전 및 창업 활성화 등을 통해 지역 산업체 경쟁력 향상과 지역사회와의 발전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