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Open

설립목적

목적

행정공간정보화연구소 설립목적은 아래의 여덟 가지입니다.
  1. 첫째, 학교에서 공간정보 전문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시 기반이 되는 연구물들을 창출하고 현재 초기인 국가 및 행정공간정보화 시작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2. 둘째, 정부가 2015년 3월말까지 전자정부 사업을 대거 발주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산학협력을 도모할 수 있고 관련 업체를 인큐베이팅할 수 있어 학교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3. 셋째, 정부는 농어촌 지역의 정보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 및 소득 증대를 위해 추진하는 도시재생 차원의 ‘정보화마을’ 사업의 활성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화마을 사업의 기반이 되는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관련된 이론적 기반을 만들 수 있습니다.
  4. 넷째, 정부가 개발을 시작한 국가 및 행정공간정보화 관련 SW개발을 주도하고 중소기업 혹은 벤처기업 등에 관련 기술을 제공 및 발주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습니다.
  5. 다섯째, 개발된 국가 혹은 행정공간정보화 전자정부시스템의 수출 시 관련 이론적,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고 추가 연구개발 및 관련 전문가의 해외취업을 주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6. 여섯째, 현재 국가공간정보화 전자정부 연구센터는 수도권에 두 곳, 지방에는 한군데도 없는 상태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자임할 수 있습니다.
  7. 일곱째, 향후 빅데이터 관련 기술과 산업에서 주도적인 연구개발 및 인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8. 여덟째, 향후 통일한국의 북한 국가 및 행정공간정보화 마련의 시금석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상의 필요성 아래에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중심체를 국내에서 지방에 위치한 대학으로는 처음으로 우리 대학에 설치하고자 합니다. 특히 국내 대학의 경우 국가 혹은 행정공간정보화를 주목적으로 하는 연구소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우리 대학에 이에 관련된 연구센터를 설치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며 블루오션을 개척하여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행정공간정보화연구소’는 다음과 같은 목적의 사업을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
  • 국토해양부, 미래부, 안행부, 통일부의 국가공간정보화 특성화대학원 설치 지속 및 예산확대
  • 국토해양부, 미래부, 안행부, 통일부의 국가공간정보화추진 과제에 대한 정책 및 기술 개발
  • 통일한국의 행정공간정보화 시금석이 되는 관련 기술과 정책 연구개발
  • 행정공간정보화 관련 기술과 정책 개발
  • 행정공간정보화 기술과 산업발전 위한 정책제시를 통한 국제 연대 주도
  • 행정공간정보화 관련 산업의 선도적 육성위한 전략수립
  • 쌍방향소통의 거버넌스 중심의 정부간 및 비정부기구간 협력 창구
  • 행정공간정보화 관련 기술과 산업에 대한 장기전략 수립
  • 행정공간정보화 정책과 기술 교육 등
  • 유비쿼터스관련 정책개발 및 U-city, 정보화마을 관련 정책 및 기술개발
  • e정부에서 유비쿼터스 정부 및 행정정보화 미래정책 및 기술개발
  • 산업/혁신클러스터 및 R&D 정책 및 기술개발
  • 기타 과학기술정책 관련 및 정책개발에 따른 관련 기술의 선도적 개발

기대효과

행정공간정보화 정책과 관련 기술분야의 기초 및 응용 연구를 통하여 결과를 산출할 수 있고, 선진국과의 정보 교류, 공동연구 등을 통하여 연구 능력을 향상시키고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현재 미개척분야인 행정공간정보화 정책과 기술 연구 수준 향상에 기여
  • 현재 초기 연구단계인 국가공간정보화 기술과 정책의 선도적 구축에 기여
  • 블루오션분야의 집중연구를 통한 이니셔티브 확보
  • 국내 최초로서 대학의 국내외 홍보에 기여
  • 전문인력의 양성을 통한 대학 경쟁력 강화
  • 현재 세계1위인 한국전자정부의 유비쿼터스정부로의 진화 강화에 기여
  • 정부간, 비정부간 창구의 역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
  • 행정공간정보화 특성화 대학원 등의 장기, 대형 국책사업 유치를 통한 대학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산업 및 지역혁신클러스터 구축의 선도적 역할을 통한 지역경제발전에 기여
  • 국내외 R&D협력을 위한 정책과 기술개발로 국가 발전에 기여
  • 현재 세계 1위의 전자정부구축에 성공한 한국정부의 향후 행정정보화 사업추진에 대한 선도적인 핵심역할 수행을 통해 대학의 중장기적 발전에 기여
top으로 이동